울산대학교 | 첨단소재공학부
본문바로가기
ender

게시판

공지사항

반도체특화 연계전공 및 “반도체” 마이크로특화전공 안내문
작성자 김** 작성일 2024-01-08 조회수 456

반도체특화 연계전공 및 반도체마이크로특화전공 안내문

2024.01.04.

external_image

반도체 산업체 인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반도체학과(물리학전공 포함), 전기공학부, 첨단소재공학부 등의 3개 학부()가 연계하여 반도체특화 연계전공 및 반도체공정·장비, 반도체소재·부품 및 모빌리티반도체설계 마이크로특전공(타 학부()에서 개설된 특전공 이수 가능)을 개설함. 상세 지원 자격 및 이수 조건은 아래 표 참조하고, 또한 반도체 연계전공 이수체계도 확인 바람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 기간(2023.03.01.-2025.02.28.)내에서는 반도체특화 연계전공 등에 선발된 학생이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학기당 100만원(25만원 * 4개월)을 장학금을 지급함.

- 학기당 반도체특화 연계전공의 개설 과목 중 6학점이상을 수강 신청해야함. , 4학년 2학기는 사업 이수 조건(21학점 이상 취득, 산학프로젝트, /단기 인터십, 비교과 과정 등의 실무교육 1건 이상)을 만족할 수 있는 학생으로 제한함.

3. 사업기간에 내 연계전공 신청한 학생에 대해 장학금 외 아래와 같이 추가 지원

- 사업 참여 컨소시엄 연계 프로젝트 기반 학습

- 비교과 과정(실전문제연구팀, 차량용MCU설계, 목요일반도체포럼 등) 제공

- 외부기관(, 반도체공정)교육, 학회/전시회(, Semicon Korea) 참석 지원 (년 최대 30만원)

4. 추가 문의 사항은 각 학부()의 학부()장 및 사업 참여 교수에게 문의 바람.

사업 참여 교수: 반도체학과 교수 전체,

전기공학부: 김현철, 박재현, 지현진, 김태우 교수,

첨단소재공학부: 이정구, 신건철, 공영민 교수

[] 연계전공, 특전공, 사업에 대한 지원자격, 이수조건, 장학금 지급 조건


 

반도체특화 연계전공

마이크로특화전공

지원

자격*

연계부전공 과정을 지원하고자 하는 자는 1학년 과정이상을 이수하고, 누계 평점평균 성적이 2.50 이상이어야 한다

마이크로특화전공을 지원하고자 하는 자는 1학년 과정 이상을 이수하고 누계 평점평균 성적이 2.0 이상이어야 한다

이수

조건

개설된 60학점 교과목 중

최소 39학점 이수

개설된 18학점 교과목 중

12학점이상 이수

반도체 전공트랙사업 이수조건은 개설 과목 중 21학점이상을 취득하고, 실무교육(, 산학프로젝트, 인턴십, 비교과 등) 1건이상 이수/수강해야 함.

장학금 지급

조건

· 대상: 반도체특화 연계전공 혹은 마이크로특화전공 프로그램에 선발된 학생

· 장학금 지급 조건: 매학기 반도체특성화 교과목 6학점이상 수강, 4학년 2학기는 사업 이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학생에 제한함.

· 장학금 지급 내용: 기 중 25만원/ (학기당 25만원×4개월 = 100만원)


 

반도체 연계전공 이수 체계도


 external_image

 

 

(서식 2)

교과과정 편성현황

학부() : 반도체학과 전공 : 반도체특화


학년

학기

과목구분

과목코드

ABEEK

과목구분

교과목명

학점

시간

비고

(운영학부)

이론

실습

3

1

전선

E01806

 

반도체공정및실습

3

2

2

나노반도체공학과 운영

전선

G03271

 

재료물성학I

3

3

 

, 재료공학전공은 전필

전선

G01361

 

박막공학

3

3

 

첨단소재공학부 운영

전선

G03619

 

IOT 응용

3

3

2

전기공학부 운영

소계

12

11

2

 

2

전선

E01818

 

반도체물성공학I

3

3

 

나노반도체공학과 운영

전선

E01817

 

반도체분석및실험

3

2

2

나노반도체공학과 운영

전선

G03272

 

재료물성학II

3

3

 

, 재료공학전공은 전필

전선

G01440

 

반도체공정

3

3

 

첨단소재공학부 운영

전선

G03790

 

아날로그전자회로

3

3

 

전기공학부 운영

전선

G03394

 

임베디드시스템

3

3

 

전기공학부 운영

전선

G03661

 

캡스톤디자인I

2

 

4

첨단소재공학부 운영

소계

20

17

6

 

4

1

전선

E01819

 

반도체물성공학II

3

3

 

나노반도체공학과 운영

전선

E01807

 

디스플레이반도체

3

3

 

나노반도체공학과 운영

전선

G00836

 

컴퓨터구조

3

3

 

전기공학부 운영

전선

G03641

 

캡스톤디자인II

2

 

4

, 전기전자공학전공은 전필

소계

11

9

4

 

2

전선

G03140

 

센서및계측공학

3

3

 

전기공학부 운영

소계

3

3

0

 


 

* 작성시 유의사항

과목구분은 (교선, 기필, 기선, 전필, 전선)으로 기재

현 교과목과 동일한(과목명, 시간, 학점) 경우는 현 과목코드를 기재

비고란에는 신규’, ‘학점변경’, ‘학년, 학기변경’, ‘과목구분변경등 자세히 기재